적도좌표계(Equatorial Coordinate System)는 항성(별)의 위치를 측정하는 가장 기본좌표계이다. 이 좌표계에서 별의 위치는 적경(Right Ascension)과 적위(Declination)값이 되며 이 좌표값의 기준점은 춘분점이 된다. 세차 및 장동과 같은 지구의 미세한 변화로 인해 이 춘분점은 계속 바뀌므로 필요에 따라 기준 시간(원기, Epoch)를 지정한다. 

현대의 별자리는 1930년 국체천문연맹(IAU)에서 88개의 별자리로 지정되어 있다. 이 별자리는 서양기준 별자리이며 각 나라 및 문화권 마다 다양한 별자리가 있긴 하지만 통상 별자리라고 하면 이 88개 별자리를 지칭한다. 

별자리는 단순히 별과 별을 이어주는 선으로 연결된 것만 지칭하지 않는다. 명확한 별자리 영역(Constellation Boundaries)이 존재한다. 이 영역은 1875년을 원기로 하는 춘분점을 기준으로 만들어졌으며 오늘날에도 사용하고 있다. 1875년 당시의 별자리 경계선은 적경,적위에 따라 아래 그림처럼 네모 반듯한 모습을 가진다. (투영방식은 정적도법을 이용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지구의 운동으로 인해 춘분점이 변해감에 따라 1875년 당시의 별자리 영역은 조금씩 틀어지기 시작했다. 아래 그림은 2000년을 원기로 했을 경우 별자리 경계 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위 그림과 달리 왜곡되어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떤 특정 별 또는 천체가 어떤 별자리에 속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계산을 해줄 필요가 있다. 즉, 1875년 기준으로 해당 천체의 별자리가 지정된 것이므로 주어진 원기에 대한 천체의 별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별자리 영역을 당시에 지정된 영역으로 왜곡한다.

이러한 과정을 할 수 있는 소스 및 데이타가 이미 공개되어 있다. 다음 링크를 참고한다.

Identification of a Constellation From Position (Roman 1987)

C로 만들어진 코드도 있으므로 참고한다.
http://astrocomplutense.es/dobles/program.c 

나는 위에서 소개한 코드를 이용해서 Flash로 원기와 적경,적위를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는 별자리 정보를 출력해주는 아주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보았다.


이 프로그램은 세차운동만 적용되었으며 또한 보간데이터를 활용했기 때문에 아주 정확하게는 경계선 부근의 천체의 경우 실제 별자리가 안나올 수 있다.

이 이론은 SNS서비스인 스타플(http://starpl.com)에도 적용되어 있다.


글쓴이 : 지돌스타(http://blog.jidolstar.com/616)

+ Recent posts